안성재 셰프 나이 키 프로필 손석희 질문들 결혼 식당 모수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심사위원 안성재 셰프가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서 방송인 손석희를 만납니다.
오늘은 안성재 셰프 나이 키 프로필 손석희 질문들 결혼 식당 모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성재 셰프 나이 키 프로필 손석희 질문들 결혼 식당 모수
안성재 손석희 질문들
11일 방송되는 ‘손석희의 질문들’에서는 안성재 셰프가 출연, 어릴 적 미국 이민 시절부터 셰프가 되기까지의 과정과 ‘흑백요리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안성재 셰프는 미국 이민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묻자 “이런 질문들을 받고 싶어서 이 프로그램에 나왔다”며 반색을 했죠
그 때문인지 ‘흑백요리사’에서 보여준 빈틈없는 ‘원칙의 요리사’ 대신 때론 허술하고 인간적인 안성재의 모습이 인터뷰를 통해 그대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군대를 가게 된 사연과 제대 후 요리학교에 들어가게 된 과정에서 그의 솔직함이 그대로 드러났고, 특히 고국으로 돌아와 미쉐린 3스타를 받을 당시를 회상할 때는 뜨거운 눈물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제 두 번째 시즌을 맞게 될 ‘흑백요리사’에서도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공동으로 심사를 맡게 된 안 셰프는 “두 사람이 서로 기준이 다르던데 잘 조화를 이룰 수 있느냐?”는 질문에 “격투기 연습을 열심히 해야겠다”고 말해 객석의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죠.

‘손석희의 질문들’이 지난해 여름에 처음 방송됐을 당시 첫손님이 백종원 대표였으므로 ‘질문들’은 본의 아니게 두 사람이 모두 출연한 프로그램이 된 셈.
프로그램에서는 또 아무래도 비용이 많이 들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파인 다이닝에 대한 안 셰프와 손석희 진행자 간의 솔직한 대담이 이어져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손석희의 질문들’은 탄핵국면의 정치 이슈는 물론 문화와 생활의 영역까지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면서 ‘오랜만에 공중파에서 제대로 된 토크쇼를 선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중.
안성재 셰프 나이 키 프로필 결혼 식당 모수
안성재 셰프는 흑백요리사에서 백종원과 같이 나와 큰 화제를 끌었습니다.

안성재와 백종원은 걸어 온 길이 다른 만큼, 성향도 다르죠.
안성재는 "보는 관점이 다를 수밖에 없다. 내가 걸어온 길과 대표님 길이 다르기 때문에 그렇다. 서로 배려도 있고 여러 가지 감정적인 게 오갔지만 어쨌든 우린 제일 맛있는 거, 파인 다이닝과 길거리 음식 상관없이 다른 관점이지만 중간 지점을 찾았다. 20분이 걸리든 1시간이 걸리든 옳은 결정을 했다"라며 "내 생각을 잘 들어주시고 (백종원) 대표님 의견을 피력할 때도 나도 잘 듣고 수용했다"라고 얘기했습니다.
백종원은 외식업계의 왕, 안성재는 쉐프들의 꿈으로 불리죠.

실제로 촬영장에 두 사람이 등장하자 참가자 모두가 납득했다고 합니다.
김학민 PD는 “백종원이 시작이라면 안성재는 ‘흑백요리사’의 끝”이라며 “두 사람을 심사위원으로 채우니 빈자리가 안 보였다”고.
백종원과 안성재는 “한국 미식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있어 함께했다”고 입을 모았고 여경래·최강록·최현석 등 유명 요리사들도 대한민국 요식업이 살아나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도전장에 이름을 올렸다고 하네요.
대한민국 요리 예능 역사상 최대의 규모로 1000평 스튜디오에 40명이 동시에 조리 가능한 세트장을 마련했다 고 하네요.
100명이 모여 요리하다 보니 레시피만 254개, 조리도구만 1000여벌이 쓰였다고.
요리를 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가스관과 상하수도관, 전기 시설을 모두 설치했고 물·전기·가스·환풍 시설을 구축하다 보니 세트장 건설에만 40일 넘게 걸렸다고 하죠.
올리브 ‘한식대첩’ 등 여러 요리 서바이벌을 겪어본 백종원도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고.

백종원은 “요리하는 사람이 5명만 돼도 급수에 문제가 생기는 여건을 알아서 비관적이었다”며 “이걸 해내서 놀랐다”고.
백종원이 “오로지 맛으로만” 판단했다면, 안성재는 “맛도 중요하지만 참가자들이 표현하고자 한 의도와 음식 맛, 모양, 전체적인 느낌이 잘 맞아떨어지는지” 살폈다고 합니다.
두 심사위원의 의견이 갈릴 때도 많았고 20분가량 끝장토론을 벌일 때도 있었다고.
안성재 셰프 나이는 1982년 1월 18일(43세)



국적은 미국
가족은 아내 임정은(Amy Anh), 딸 안시영(July Anh)(2014년 7월생), 아들 안은기(Caleb Anh)(2016년생)

경력은 미국 육군 (2001-2005), 우라사와 스타지, 더 프렌치 런드리, 셰프 드 파티 창립 멤버, 아지자 총괄 셰프, 모수 서울 오너셰프
학력은 서울강남초등학교 (전학), 르 꼬르동 블루 LA 캠퍼스 (졸업)



키는 183cm
종교는 기독교
소속은 모수 서울 (MOSU Seoul)
모수 서울은 미쉐린 가이드 2024년판에서 3스타를 부여받았던 국내 유일한 레스토랑이죠.

참고로 역대 대한민국 미쉐린 3스타 레스토랑은 현재는 2스타인 호텔신라의 라연, 그리고 지금은 폐업한 가온, 2025년에 3스타를 부여받은 밍글스, 그리고 모수까지 총 네 곳입니다.
취미는 종합격투기
MBTI는 INTJ입니다.
레스토랑의 이름인 '모수'의 유래는 본인이 미국으로 이민 가기 전 가족들과 함께 집 뒤쪽 들판에 갔는데 코스모스가 엄청나게 많이 피어 있었다고 하네요.
그 뒤로 가게 오픈 전 이름을 생각할 때, 손님들의 가장 행복한 시간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본인이 생각한 행복을 레스토랑 이름에 넣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이민을 가기 전에 보았던 코스모스가 머릿속에 뚜렷이 남아 있어서 코스모스로 생각하고 디자인도 하였지만 코스모스 자체가 레스토랑에는 잘 맞지 않는 작명 같아서 고민하다가 '모수'라고 본인이 지어서 로고도 만들고 창작해 냈다고 합니다.

한편 올해 셰프들이 꼽은 셰프, 이네딧 담 셰프 초이스 어워드(Inedit Damm Chefs’ Choice Award) 수상자로 모수의 안정재 셰프가 선정됐습니다.
‘셰프들이 꼽은 셰프’에 선정된 안 셰프는 “레스토랑업계에 많은 셰프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를 뽑아 주셔서 감사하고, 특히 모수는 한국 음식을 제공하고 있고 한국 음식을 대표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욱 특별하다”고 말했습니다.
모수는 2023년에는 한국의 최고의 레스토랑인 15위였지만 올해는 41위를 기록했다고.
안성재 셰프는 CJ와 협업해 모수를 운영해 왔으나 지난해 말 문을 닫고 홀로서기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경기불황과 고물가, 고이자 등의 여파로 외식업 경기가 위축되면서 좋지 않은 시기에 홀로서기를 하는 것 아니냐은 말들이 있는데 안 셰프는 “모든 레스토랑은 운영하기가 쉽지 않다. CJ와의 관계는 생각이 다른 부분이 있고 내가 가야 하는 길이 있다고 생각해서 헤어지게 됐다 네요.



다른 도시와 비교를 했을 때 서울의 다이닝 문화는 다소 늦게 시작했다. 더욱이 한국인의 대부분이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을 생소하게 느낄 수 있다. 파인다이닝은 외국에서 넘어왔기 때문에 이렇게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경험하지를 않았기 때문이라고.
안성재 셰프는 “결국 다이닝이 살아남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의 경험을 통해 다이닝을 즐길 수 있는 인구가 얼마나 있느냐가 좌우한다”고 말했습니다.
안성재 셰프는 한국에서 태어나 이북 할머니의 손에 자라고 13살때 캘리포니아로 이민을 갔다네요.
그는 고등학교 졸업 후 학비를 벌고자 미군에 입대, 이라크 파병도 다녀오고 제대 후 자동차 정비공이 되려고 정비 전문학교 입학 절차를 다 마친 어느 날, 거리에서 프랑스 요리학교 ‘르 코르동 블루’ 학생들이 흰 조리복을 입고 서 있는 모습을 봤다고 합니다.
“그 모습에 이끌려 따라가 보니, 거기엔 다른 세상이 있더라. ‘아, 요리로도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네’란 걸 그때 처음 자각하게 됐다.”고.
그는 이날로 정비학교 등록을 포기하고, LA에 있는 요리학교에 입학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어찌 보면 오래전부터 그의 DNA에는 요리가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이북 출신인 안 셰프 할머니는 개성 약과 등 궁중 요리 전수자였고, 그의 부모님은 미국에서 작은 중식당(판다 익스프레스)을 운영했다고 합니다.
그 역시 부모님을 도와 튀김과 칼질 등 요리를 가까이했다고.



할머니 집에선 늘 생강과 계피 냄새가 났다네요. 어릴 땐 그 냄새가 너무 싫었는데 지금은 그게 너무 그립다고 합니다.
2015년 안 셰프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모수’를 처음 오픈하고, 2017년 한국으로 온 이후에도 한 번도 빠지지 않은 메뉴가, 바로 이 할머니의 레시피를 토대로 만든 ‘개성 약과’라고.
재학 중엔 미국에서 고급 일식당 최초 미쉐린 스타를 받은 ‘우라사와’에서 일했고, 훗날 미쉐린 3스타를 받은 ‘베누’가 오픈할 때부터 멘토격인 코리 리 밑에서 배웠습니다.
2015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안 셰프가 오픈한 ‘모수’는 8개월 만에 미쉐린 1스타를 획득했죠.
“미쉐린 별을 받은 레스토랑에서 수련하면서, 그들에게서 배운 방향대로 일하다 보니 좋은 결과가 있었던 것 같다. 우리 식당에서는 ‘김 컵’이란 전채요리를 낸다. 그런데 비가 오거나, 조금 습하면 이 김이 평소보다 눅눅해질 수밖에 없다. 그때 고민을 한다. 사람들은 잘 모르고, 조금 눅눅해도 여전히 맛있을 텐데, 이걸 낼까 말까. 이런 아주 작은 상황에서도 돈을 더 버는 방향이 아닌, 손님들이 더 좋은 방향으로 선택하는 게 내가 배운 철학이다. 또 가장 중요한 것. 무엇보다 식당은 청결해야 한다.”
‘모수’는 CJ제일제당으로부터 투자를 받으면서 2017년 서울 용산구 한남동으로 옮겨 문을 열게 됩니다.
2019년 1스타, 2020년 2스타에 이어 올해 3스타까지 착실하게 성장했죠. 그는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국 파인 다이닝 전체의 평가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늘 많은 고민과 부담을 안고 있다”고 했다고 합니다.
출연전 원래 다이어트 중이었다는 안성재 셰프 ㅎㅎ




‘요리사’란 직업이 힘들진 않으냐는 질문엔 “직업적으로 일이 힘든 건 당연한 힘듦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워라밸’이란 말을 많이 하는데, 밸런스를 찾으려면 언밸런스가 뭔지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동력을 착취하겠다는 게 아니라,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결과도 생기는데, 요즘엔 그런 게 없어지고 ‘내가 왜 그렇게까지 해야 해’라는 생각이 많은 것 같아 안타깝다. 때론 올인할 줄도 알아야 한다. 그래야 나 자신과 남들이 인정하는 창작물도 만들 수 있다.”고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
안성재 셰프
에드워드리와 함께 흑백요리사가 낳은 가장 큰 아웃풋이죠.
앞으로의 행보도 기대됩니다.
흑백요리사 2도 기다려지네요.
안성재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