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예

시청률 조사방법과 광고 단가의 관계

by 해피라이프0206 2024. 11. 16.

시청률 조사방법과 광고 단가의 관계

시청률 조사방법과 광고 단가의 관계

 

시청률과 광고 단가 사이의 상관관계는 방송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시청률이 높을수록 광고 단가는 올라가게 되죠.

오늘은 시청률 조사방법과 광고 단가의 관계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청률 조사방법과 광고 단가의 관계

시청률이 높을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때문에, 광고주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를 알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청률과 광고 단가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방송사와 광고주 모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1. 시청률의 정의 및 측정 방법

시청률은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 시청자 수를 전체 시청자 수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이 비율은 특정 시간 동안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 시청자의 비율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퍼센트(%)로 표현됩니다.

 

시청률은 특정 프로그램이나 시간대의 인기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방송사, 광고주, 콘텐츠 제작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이를 활용합니다.

 

시청률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됩니다:

 

- 피플미터:

TV 시청 가구에 설치된 장치로, 어떤 프로그램을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시청했는지를 기록합니다.

시청률 조사방법

 

- 일기 조사:

시청자가 어떤 프로그램을 시청했는지 직접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과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피플미터와 같은 자동화된 시스템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소셜 미디어 분석:

최근에는 소셜 미디어 상의 언급량과 반응을 바탕으로 시청률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시청률 조사와는 다른 접근법이지만, 특히 젊은 세대의 시청 습관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2. 피플미터 시청률 조사 방법

1) 가족수, 월소득, TV보유수, 성별, 연령 등을 따져 적합한 패널 가구를 선정하게 되죠.

시청률 조사방법

 

2) 패널 가구는 피플미터라는 장치를 달아 채널을 바꿀 때마다 리모컨으로 조작해 입력해야 합니다.

그럼 어떤 채널을 얼마나 보는지 자동으로 입력이 되는 것이죠.

시청률 조사방법

 

3) 손님이 와서 같이 보게 되면 손님 성별, 연령도 입력해야 됩니다.

시청률 조사방법

 

4) 2명이서 보다 1명이 안보면 그것도 입력해야 됨.

(다소 까다롭죠? 하지만 하는 사람에 따라 정확도 여부는 달라진다는)

 

5) 만약 TV를 보다 잠이 들었다. 그런 경우엔 움직임 감지 센서가 감지에 시청률에서 빠지게 됩니다.

(생각보다 정교합니다.)

시청률 조사방법

 

6) 조사기관에선 인터넷요금이나 전기 요금 같은 것을 보조해 주고  명절에는 선물같은 것도 보내준다고.

시청률 조사방법

 

 

3. 광고 단가의 정의 및 결정 요인

광고 단가는 특정 프로그램이나 시간대에 광고를 내보내기 위해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광고 단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그 중에서도 시청률은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광고 단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시청률:

앞서 언급했듯이 시청률이 높을수록 광고 단가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더 많은 시청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시간대:

일반적으로 황금 시간대(프라임타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광고 단가는 낮 시간대나 심야 시간대의 광고 단가보다 훨씬 높습니다.

 

- 프로그램의 성격:

뉴스, 스포츠, 드라마, 예능 등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광고 단가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나 인기 드라마의 광고 단가는 높은 편입니다.

 

- 경쟁 프로그램:

동일한 시간대에 방송되는 다른 프로그램의 인기도 또한 광고 단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쟁 프로그램이 인기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광고 단가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광고의 길이와 빈도:

광고의 길이(예: 15초, 30초)와 특정 프로그램 내에서 광고가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빈도도 광고 단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4. 시청률과 광고 단가의 상관관계

시청률과 광고 단가 사이에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합니다.

 

시청률이 높을수록 광고 단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광고주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해 지불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시청률과 광고 단가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습니다:

 

1) 직접적 상관관계

일반적으로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일수록 광고 단가가 높습니다.

 

이는 광고주들이 더 많은 시청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기 드라마의 마지막 회나 중요한 스포츠 경기(예: 월드컵 결승전)의 시청률은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그램의 광고 단가는 평소보다 몇 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황금 시간대와 비황금 시간대

황금 시간대(프라임타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시청률이 높기 때문에 광고 단가도 높게 책정됩니다.

 

반면, 비황금 시간대(예: 오전 10시~오후 4시, 심야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시청률이 낮기 때문에 광고 단가도 낮아집니다. 이처럼 시간대에 따라 시청률과 광고 단가가 함께 변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장기적인 트렌드와 예외 사례

장기적으로는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이 꾸준히 높은 광고 단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일시적인 이슈나 특정 이벤트로 인해 일시적으로 시청률이 급등하는 경우, 광고 단가는 그에 따라 신속하게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의 콘텐츠가 광고주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시청률이 높더라도 광고 단가가 기대만큼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광고 효과와 ROI

광고 단가가 높다고 해서 항상 광고 효과가 뛰어난 것은 아닙니다.

 

광고주는 시청률뿐만 아니라 광고가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되는지, 즉 ROI(Return on Investment)를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roi

 

ROI는 광고주가 투자한 금액 대비 얻는 수익을 의미하며, 이는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광고주들은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에 광고를 내보내면서도, 그 프로그램의 시청자층이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에 얼마나 관심을 가질지, 즉 타겟층과의 일치도를 고려합니다.

 

 

6. 디지털 플랫폼과의 비교

최근 들어 TV 시청률이 감소하고 디지털 플랫폼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TV 광고 단가와 디지털 광고 단가 간의 비교도 중요한 주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TV광고에 많이 쏟아 붓던 마케팅 자원들을 유튜브나 인터넷 광고로 많이 돌리고 있죠.

 

디지털 플랫폼은 TV보다 타겟팅이 더 정밀하게 가능하고, 광고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광고주는 TV 광고 외에도 유튜브, 넷플릭스,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 광고 예산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광고의 경우, 시청률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클릭률(CTR), 도달률, 노출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표들은 광고 단가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V 시청률이 높은 경우에도, 특정 타겟층에 도달할 수 있는 디지털 광고의 효과가 더 크다고 판단될 경우, 광고주는 디지털 플랫폼을 더 선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청률과 광고 단가 간의 전통적인 관계는 점차 복잡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고려한 통합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광고 효과와 ROI, 디지털 플랫폼과의 비교 등을 고려할 때, 단순히 시청률이 높다고 해서 광고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은 아닙니다.

 

광고주들은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하며, 이는 매체사나 미디어 플래너들에게도 중요한 과제가 되죠.

 

참고로 나는솔로 22기 상철이 광고회사에서 이런 광고 미디어 플랜을 짜는 부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거라는.

옛날엔 매체라고 불렀죠.

요즘은 미디어 플래너 등등.